윈도우 시스템 파일이 손상 되었을 때, 복구하는 방법
1. 윈도우 설치 파일 준비
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받는다.
USB에 설치 미디어로 만들거나, iso 를 다운받아서 가상 시디로 마운트 시켜도 된다.
당연히 현재 설치된 버젼과 동일한 윈도우를 준비해야 한다.
2. install.esd를 install.wim으로 변환하기
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다.
명령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.
dism.exe /esport-image /sourceImageFile:E:\source\install.esd /sourceIndex:3 /DestinationImageFile:d:\wim\install.wim
여기서,
E:\source\install.esd 는 바로 위에서 다운받은 설치 미디어 파일이 있는 드라이브다. iso를 다운받아 마운트 시키지 않고 압축을 풀어도 되는데, 여튼, 설치 미디어의 source 폴더 밑에 install.esd 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3메가 정도 파일이다.
그리고,
/sourceIndex:3
에서 3번 인덱스는 win pro 버젼을 가리킨다. 경우에 따라 pro 버젼이 아니거나 인덱스가 달라질 수도 있는데, 그 인덱스는 역시 명령프롬프트에서 아래의 명령어로 확인하면 된다.
dism.exe /Get-Wiminfo /Wimfile:e:\sources\install.esd
설치 파일 정보를 읽으면서 몇번 인덱스에 어떤 운영체제가 들어있는지 화면에 출력해준다.
그리고,
d:\wim\install.wim 부분은 esd를 wim으로 변환시킨 후 저장할 폴더와 파일명이다. 3GB 정도 쓰기 가능한 폴더를 만들어주고 지정해주면 된다.
다음의 절차에서 이 파일을 참조하게 된다.
3. 이미지 읽어서 복구하기
위의 작업을 거쳐 wim 파일을 만들었으면, 아래처럼 명령 프롬프트에 써 준다.
dism.exe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 /source:wim:d:\wim\install.wim:1
마지막의 1번은, 저 위에서 sourceIndex를 3번 하나만 택했기 때문에, 그 3번이 첫번째인 1번으로 등록되어 있어서 그렇다.
궁금하면, 아래의 명령으로 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dism.exe /Get-Wiminfo /Wimfile:d:\wim\install.wim
자체 파일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, 미리 준비한 install.wim으로 복구하게 된다.
이제 손상된 파일을 복구한다.
4. 마지막으로 sfc
이제 마지막으로 명령 프롬프트에서,
sfc /scannow를 해준다.
그러면 끝.
참고 글
https://www.wintips.org/how-to-extract-an-install-wim-file-that-contains-several-install-wim-files/